전체 글 28

기술 개발 경쟁이 필요한 이유(경제적 자원, 생산가능곡선)

일론 머스크는 기술은 수많은 천재가 미친 듯이 일해야만 진보한다고 말했습니다. 사람들이 기술이 그저 가만히 놔두기만 하면 자동적으로 진보한다고 착각한다고 하면서 말이죠. 실제로 모든 기술은 엄청나게 많은 사람들이 투입해서 이루어 낸 성과입니다.기술은 경제적으로 엄청난 가치를 가져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왜 기술 개발 경쟁이 필요한지 경제적 자원과 생산가능곡선을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1. 경제적 자원경제적 자원은 넓은 의미에서 보았을 때 우리가 아껴 써야 하는 모든 것을 의미합니다. 좁은 의미에서는 생산요소(Factors of Production)를 의미하죠. 즉 상품이나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자원을 경제적 자원이라고 부릅니다.이 경제적 자원에는 크게 4가지 요소가 있습니다. 노동(Labor)..

카테고리 없음 2025.02.02

경제학에서 시장(Market)이란 (초기 정통적인 자본주의)

경제학에서는 경제 주체를 크게 3개로 나눕니다. 가계, 기업, 정부가 바로 3대 경제 주체입니다.가계(household)는 생산요소를 공급하고, 상품을 소비하는 역할을 갖고 있습니다.기업(Firm)은 생산요소를 구입하여, 상품을 만들고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그리고 정부(Government)는 세금을 징수하고 효율적인 자원 배분을 위해 각종 여러 사업이나 SOC 사회간접자본을 확충하는 역할을 갖습니다.1️. 시장(Market)시장의 요소시장은 개인과 기업이 상품을 사고 팔기 위해 모인 모임을 의미합니다.시장은 크게 상품시장과 생산요소시장 2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이 생산요소시장에는 노동시장과 자본시장이 있습니다. 상품시장은 기업이 상품을 공급하고, 가계가 상품을 수요하는 시장을 의미합니다.반대로 생산요..

카테고리 없음 2025.02.01

경제학에서 합리적 선택을 하는 방법

인생을 성공으로 이끌어나가기 위해서는 인간은 언제나 선택의 기로에 놓이게 됩니다. 여기서 지속적으로 합리적인 선택을 하여, 좋은 결과를 천천히 쌓아나가다 보면 우리는 성공을 하게 됩니다. 반대로 비합리적인 선택이 쌓이게 되면, 인생은 나락으로 가게 되는 것이지요.이번 포스팅에서는 성공하기 위해 어떻게 하면 합리적 선택(Rational Choice)을 하는지 그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선택의 학문경제학은 선택의 학문이라고도 합니다. 경제학에서는 개인뿐 아니라 사회적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경제적 선택행위에 대해 연구합니다.기존의 경제학은 주로 상품 생산, 교환, 소비와 관련된 문제에 대해서 연구하는 학문이었지만, 현대의 경제학은 선택의 문제와 관련된 모든 것이 연구 대상이 되었습니다.현대사회에 ..

카테고리 없음 2025.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