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계모임에서 유래된 상호부금 특징 및 활용방법

SPACEBAR RESEARCH 2025. 2. 14. 21:00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모임인 계에서 유래된 상품을 들어보셨나요? 바로 "상호부금" 이란 상품입니다. 계는 한국의 전통적인 모임이었으나 현대에 와서는 하나의 조직이 서로 돈을 모으고 주고 받는 사적인 금융으로 변모했습니다. 이 사적인 금융을 기반으로 공적으로 만든 상품이 바로 상호부금 입니다.

상호부금이란?

계모임은 어떤 사람에게는 저축의 의미로, 어떤 사람에게는 대출의 의미로 이루어져 있고, 그 모임은 서로 간의 높은 신용이 있는 사람들끼리 모입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그런 조직을 만들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최근 계모임은 친구나 가족과 여행을 가기 위한 특정 목적을 위해 함께 저축을 하는 형태로 대부분 이루어져 있습니다.

상호부금은 이러한 계모임의 기능을 넣은 상품인데요. 상호부금은 일정 기간 동안 부금을 납입한 후, 중도 또는 만기 시 일정 금액의 대출 자격이 부여되는 적립식 대출 상품입니다.

이 상품은 적금과 대출을 하나의 상품으로 묶어 제공하며, 고객은 부금을 적립하게 되면서 대출 자격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상호부금은 주로 개인 또는 중소기업자가 가입하며, 총 납입 횟수의 1/4 이상을 납입하면 대출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상호부금의 특징

  1. 적립식 대출 상품: 적금과 대출을 결합한 형태로, 일정 기간 동안 돈을 적립하면서 대출 자격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은행에 따라 정액적립식과 자유적립식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2. 가입 대상: 실명의 개인 또는 중소기업자가 주로 가입합니다​​.
    개인의 경우 비과세 종합저축이 가능합니다. 기업은 과세 상품입니다.
  3. 대출 자격 및 한도: 총 납입 횟수의 1/4 이상을 납입한 계약자에 대해 계약액 범위 안에서 최고 1천만원까지 대출이 가능합니다​​​​. 이 역시 최저가입금액과 1회 납입금액이나 최고 대출금액은 은행마다 다 다릅니다.
  4. 대출 목적: 과거에는 대출 목적으로 주로 이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저축 목적으로도 주로 활용됩니다​​.
  5. 변화된 상품 성격: 과거 사금융인 무진회사 형태에서 법률적으로 제도금융으로 흡수되어 상호부금으로 탈바꿈하였으며, 국민은행에서만 취급하던 것이 일반 은행으로 확대되었습니다​​.

그 외에도 예금자보호법에 의해 상시 보호되는 상품이며, 만기 후에는 적용금리가 가입 당시 약정이율의 절반 수준 이하로 낮아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주의 사항 및 활용 방법

  • 계약 기간 준수: 계약기간은 대체로 6개월 이상 60개월 이내이며 대출을 받기 위해서는 계약 기간 동안 정해진 횟수 이상의 납입이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는 1/4회차 이상 부금 납입 할 경우 대출 실행이 가능합니다.
  • 다양한 은행 상품 비교: 상호부금을 취급하는 은행마다 상품의 조건과 혜택이 다를 수 있으므로 여러 상품을 비교하는 것이 좋습니다.
  • 목적에 맞는 사용: 대출과 저축의 이중 목적으로 활용 가능하므로, 개인이나 기업의 재정 계획에 따라 적절히 활용할 수 있습니다.

마치며

상호부금은 일정 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자금을 적립하는 적금과 같은 상품에 필요 시 대출을 받을 수 있는 두 가지 기능을 갖는 효과적인 금융 상품으로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장기적인 자금 계획을 가지고 있거나 특정 목적을 위한 대출이 필요한 경우에 적합한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